■ 수의형태학 전공 | (1) 전공안내 | 수의형태학은 동물의 신체적 구조와 질병의 발생 원리 및 치료제 개발에 필요한 분야로서, 배·태아의 발생 (발생학)에서부터 해부학적 구조 및 기능 (해부학), 조직학적 미세구조 (조직학), 각종 감염성, 중독성, 대사성, 유전성 질병 등의 병인과정 및 병리적 특성 (병리학)에 대한 기본 지식은 물론, 인간의 질병연구 및 신약개발 등을 위한 각종 실험동물의 개발과 응용에 관한 학문 (실험동물의학)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문지식의 습득을 위해서 수의형태학분야의 대학원 과정에서는 다양한 현대적 기술 및 기법을 응용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수의형태학분야에서의 주요 연구주제로 해부학 분야에서는 배·태아발생, 조직의 성장 및 손상에 따르는 유전자의 변화에 관한 연구를, 조직학분야에서는 발암과정에서의 유전자 및 조직 미세구조의 변화와 식품중 암예방 성분의 검색을 위한 연구를, 병리학분야에서는 각종 질환의 병인론 및 의약품 등의 부작용으로부터 발생하는 변화에 대한 peer review를, 실험동물의학분야에서는 질환모델동물의 개발과 신약 및 신기능성식품 소재의 효능평가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2) 교과과정 | 구분 | 과 정 | 교과목 번 호 | 교 과 목 / 영문 | 기초 공통
| 석 사
| 8967002
| 의학통계학 / Medical Statistics
| 연구 과제
| 석 사
| 8967998
| 연구과제Ⅰ / Research ProjectsⅠ | 박 사
| 8967999
| 연구과제Ⅱ / Research ProjectsⅡ | 수 의 형태학 전 공
| 석ㆍ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967005 8967006 8967010 8967012 8967089 8967090 8967091 8967092 8967155 8967182 8967183 8967184 8967185 8967187 8967189 8967190
8967191 8967193 8967200 8967201 8967250
8967251 8967252 8967253 8967254 8967255 8967259 8967260 8967261 8967262 8967263 8967266 8967267 8967268 8967269 8967271 8967272 8967273
|
동물실험기법 동물종양학 수의외과해부학 수의조직학특론 수의신경해부학특론 수의해부학특론 실험동물병리학특론 실험동물학특론 실험동물조직학 수의발생학 및 기형학특론 수의종양생물학 화학발암 특론 암예방연구 유전자재조합실험동물조직학 정자발생과 유전자조절 비방사성동위원소기법
생식과호르몬 환경호르몬과 유전자 조절 수의형태학세미나Ⅰ 수의형태학세미나Ⅱ 수의신경조직학특론
수의조직학용어분류 수의조직학기법 암예방연구방법론 수의조직학각론 특강 생식과 불임 분자세포공학 실험동물육종학 실험동물비교생물학 실험동물감염병학 실험동물안전성평가법 수의호흡기계병리학 수의소화기계병리학 수의비뇨기계병리학 수의신경계병리학 수의면역계병리학 수의생식기계병리학 수의피부병리학 |
Animal Experimental Techniques Animal Oncology Veterinary Surgical Anatomy Advances in Veterinary Histology Advances in Veterinary Neuroanatomy Advances in Veterinary Anatomy Advanced Laboratory Animal Pathology Advanced Laboratory Animal Medicine Histology for Laboratory Animal Pathologists Advanced Veterinary Embryology & Teratology Veterinary Oncology & Cancer Research Advances in Chemical Carcinogenesis Advances in Cancer Prevention Histology for Genetically Altered Animals Spermatogenesis and Gene Regulation Molecular Biological Techniques using Non-radioisotopes Reproduction and Hormones Endocrine Disrupters and Gene Regulation Veterinary Morphology SeminarⅠ Veterinary Morphology SeminarⅡ Advances in Veterinary Histology for Nervous System Nomina Histologica Veterinaria Techniques for Veterinary Histology Methodology in Cancer Chemoprevention Advances in Veterinary Special Histology Reproduction and Infertility Cellular and Molecular Biotechnology Laboratory Animal Breeding Comparative Biology of Laboratory Animals Infectious Disease of Laboratory Animals Safety Evaluation using Laboratory Animals Veterinary Pathology of Respiratory System Veterinary Pathology of Digestive System Veterinary Pathology of Urinary System Veterinary Pathology of Nervous System Veterinary Pathology of Immune System Veterinary Pathology of Reproductive System Veterinary Pathology of Integumentary System |
| | (3) 담당교수 : 강종구, 김대중, 남상윤, 안병우 | | |
|
| | ■ 수의기능학전공 | (1) 전공안내 | 수의기능학은 동물의 정상적인 세포의 분화, 생리기능, 대사 및 약물의 약리작용과 부작용에 관한 이해를 위한 분야로서, 체내 각종 세포의 분화 및 유전자 발현 (생물공학), 물질대사에 관여하는 생화학 반응 (생화학), 생체기능 유지를 위한 생리작용 (생리학), 약물의 체내 작용 및 동태 (약리학), 약물 및 독성물질의 부작용 (독성학)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과정이다. 이러한 지식의 습득을 위해서는 다양한 현대적 기술 및 기법을 응용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본 대학원 과정에는 관련 전문 강좌가 개설되어 있다. 주요 연구주제로서 생물공학 분야에서는 바이오장기의 생산 및 난치병 치료를 위한 줄기세포의 분화와 생식세포 및 체세포 복제 연구를, 생화학분야에서는 생식·발생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분자구조 및 기능의 규명과 장기이식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굴 및 응용에 대한 연구를, 생리학분야에서는 의약품 및 천연물질이 내분비 호르몬 변화에 미치는 작용기전 연구를, 약리학분야에서는 뇌세포의 손상, 사멸 및 세포보호제의 작용기전 규명을 위한 연구를, 그리고 독성학분야에서는 흥분성 뇌손상의 유형분석 및 뇌보호제의 실용화와 환경오염물질 및 스트레스로 인한 기형아 출산에 대한 예방제의 작용기전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더 나아가 수의형태학 및 기능학분야에서는 이러한 기반 연구 및 기술을 바탕으로 화학 및 생물학 의약품, 한약재 등의 천연물질 및 식품성분, 줄기세포 및 유전자치료제에 대한 유효성과 안전성 평가를 통해 신약 및 건강기능성 식품의 개발을 위한 생리활성 물질을 탐색함으로써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 (2) 교과과정 | 구분 | 과 정 | 교과목 번 호 | 교 과 목 / 영문
| 기초 공통 | 석 사
| 8967002 | 의학통계학 / Medical Statistics | 연구 과제 | 석 사 | 8967998 | 연구과제Ⅰ / Research ProjectsⅠ | 박 사 | 8967999 | 연구과제Ⅱ / Research ProjectsⅡ | 수 의 기능학 전 공 |
석.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967023 8967028
8967029 8967037 8967038 8967098
8967099
8967100 8967101 8967104 8967105 8967106 8967107 8967108 8967109 8967110 8967112 8967113 8967114 8967115 8967116
8967202 8967203
8967206 8967207 8967208 8967223 8967224 8967225 8967228 8967319 8967276 8967279 8967280 8967282 8967285 8967288
8967157 8967324
8967325 8967326 8967338 8967339 8967340 8967341 8967342
| 번식 내분비학 총론 분자및세포생태학특론
분자유전학특론 신경약리학 약물동태학 분자및세포웅성 내분비학특론 분자및세포자성번식 내분비학특론 분자약리학 생화학특론논제 수의약물요법 약리활성물질의연구법 약물-수용체 상호작용 약물작용의원리 웅성번식 생리학특론Ⅰ 웅성번식 생리학특론Ⅱ 유전자 발현 및 조절 자성번식 생리학특론Ⅰ 자성번식 생리학특론Ⅱ 체외수정 및 수정란 이식기법 행동약리연구법 형질전환 및 복제동물생산기법 발생공학특론Ⅰ 발생공학특론Ⅱ 일반내분비학총론 번식독성학Ⅰ 번식독성학Ⅱ 독성학의 최신지견 세포사멸 기전 스트레스와 건강 환경독성학 줄기세포생물학 중추신경계질환과약물 비인간영장류 번식생물학 체세포핵이식을 이용한 복제동물생산 유전자복제입문 포유동물 단위발생학 발생학DNA조작기법
실험동물번식학특론 수의발생생물공학특론
배아줄기세포학 후성발생학 분자세포생화학 특론 세포분자면역학 특론 암생물학 특론 줄기세포 재생의학 특론 유전체학 특론
| General Reproductive Endocrinology Advanced Molecular and Cellular Developmental Biology Advanced Molecular Genetics Neuropharmacology Pharmacokinetics Advanced Molecular and Cellular Male Reproductive Endocrinology Advanced Molecular and Cellular FemaleReproductive Endocrinology Molecular Pharmacology Selective Topics in Advanced Biochemistry Veterinary Drug Therapy Research Method in Pharmacoactive Substances Drug-Receptor Interaction Principles of Drug Action Advanced Male Reproductive PhysiologyⅠ Advanced Male Reproductive PhysiologyⅡ Gene Expression and Regulation Advanced Female Reproductive PhysiologyⅠ Advanced Female Reproductive PhysiologyⅡ Methods in in-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Research Method in Behavioral Pharmacology Methods in Transgenic and Cloning Animal Production
Advanced Embryo EngineeringⅠ Advanced Embryo EngineeringⅡ General Endocrinology Reproductive ToxicologyⅠ Reproductive ToxicologyⅡ Current Awareness in Toxicology Mechanisms of Cell Death Stress Effects on Health Environmental Toxicology Stem Cell Biology Disease in CNS and Drug Reproductive Biology in Nonhuman Primates Production of Cloned Animals by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Gene Cloning Introduction Parthenogenetic Development in Mammals DNA Recombinant Technology in the Embryo Development Advanced Laboratory Animal Reproduction Advanced in Veterinary Embryology and Biotechnology Embryonic Stem Cells Epigenetics Advanced Molecular and Cellular Biochimistry Advanced Molecular and Cellular Immunology Advanced Cancer Biology Advances in Stem Cell Regenerative Medicine Advanced Genomics
|
| | (3) 담당교수 : 윤영원, 성연희, 정의배, 김윤배, 현상환, 최경철 | | |
|
| | ■ 수의예방학전공 | (1) 전공안내 | 수의예방학은 동물 질병의 원인, 발생기전, 치료 및 예방에 대한 중요한 지식을 습득케 하고 궁극적으로 인류의 건강을 보전하고 삶을 윤택하게 유지하기 위해 개설되는 여러 분야들로 구성되어 있다. 동물의 감염성 질병에 대해 개설된 분야 중에 수의세균학분야는 동물의 질병을 유발하는 미생물 중 세균에 관한 정보 및 질병발생과 그 예방에 대한 과목을 제공하고, 수의바이러스학분야는 동물의 바이러스성 질병의 원인체인 바이러스에 관한 정보, 숙주의 면역 및 질병진단법에 관한 과목들을, 수의기생충학분야는 동물의 기생충성 질병의 원인체인 원생동물, 절지동물 및 내부기생충에 대한 정보 및 그 질병발생과 예방책에 대한 과목들을 제공하여 전반적인 감염성질병에 대한 지식을 제공한다. 또 수의공중보건학은 인수공통전염병, 역학, 농ㆍ축ㆍ수산물 등의 식품으로부터 야기되는 식중독 및 위생대책, 가축의 도살 및 축산물의 가공 처리, 토양ㆍ대기ㆍ수질오염 등의 환경위생에 대한 정보 및 지식을 제공하는 과목들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의예방학분야에서의 주요 연구주제로는 각종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감염병 발생에 대한 억제제 및 치료제의 개발 연구, 각종 미생물의 분자생물학적 특성 규명 연구, 식품오염 방지 및 저감에 관한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인류건강을 보호하고 증진시키는데 무한히 기여하고 있다.
| (2) 교과과정 | 구분
| 과 정
| 교과목 번 호
| 교 과 목 / 영문 | 기초 공통
| 석 사
| 8967002
| 의학통계학 / Medical Statistics
| 연구 과제
| 석 사
| 8967998
| 연구과제Ⅰ / Research ProjectsⅠ | 박 사
| 8967999
| 연구과제Ⅱ / Research ProjectsⅡ | 수 의 예방학 전 공 | 석ㆍ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967044 8967045 8967046 8967047 8967048 8967049 8967050 8967051 8967053 8967180 8967055 8967056 8967063 8967120 8967230 8967233 8967234 8967236 8967237 8967121 8967122 8967123 8967125 8967168 8967290 8967292 8967239 8967240 8967242 8967243 8967246 8967247 8967248 8967249 8967327 8967328 8967329 8967330
| 동물용생균제 수의면역학특론 수의바이러스성전염병특론 수의바이러스학특론 수의생물학제제 수의세균성전염병특론 수의세균학특론 수의식품위생학특론 수의원충학 수의진단기생충학 수의절지동물학 수의진단미생물학 혐기성세균학 수의바이러스학실험기법 역학 내분비장애물질 특론 근식품 및 유식품 과학 환경위생학 특론 식품중 유해물질 오염 수의분자바이러스 수의세균학세미나 수의세균학연구기법 실험동물기생충학 인수공통기생충증 항생물질특론 소독과 멸균 가금질병과 사양관리 조류질병학특론 야생조류질병학 조류병리학특론 조류진단미생물학 및 실험 조류진단병리학및실험 조류임상세미나및실습 조류질병현장실습 수의선충학 수의조충학 수의흡충학 수산식품위생학 | Probiotics for Animal Use Advanced Veterinary Immunology Advanced Veterinary Viral Diseases Advanced Veterinary Virology Veterinary Biologicals Advanced Veterinary Bacterial Diseases Advanced Veterinary Bacteriology Veterinary Food Hygiene Veterinary Protozoology Veterinary Diagnostic Parasitology Veterinary Arthropodology Veterinary Diagnositc Microbiology Anaerobic Bacteriology Methods in Veterinary Virology Epidemiology Advances in Endocrine Disrupters Meat and Milk Sciences Advances in Environmental Hygiene Food Contamination Veterinary Molecular Virology Seminar in Veterinary Bacteriology Methods in Veterinary Bacteriology Parasitology of Laboratory Animals Parasitic Zoonoses Advanced Antimicrobial Drugs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Poultry Diseases and Management Interaction Advanced Avian Diseases Diseases of Wild Bird Diseases Advanced Avian Pathology Avian Diagnostic Microbiology and Laboratory Avian Diagnostic Pathology and Laboratory Avian Medicine Seminar and Clinical Rounds Avian Disease Externship Veterinary Nematology Veterinary Cestology Veterinary Trematology Hygiene and Sanitation of Aquatic Animal Products
|
| | (3) 담당교수 : 강신영, 지차호, 허강준, 이완규, 모인필, 이범준 | |
|
| | ■ 수의임상학전공 | (1) 전공안내 | 수의임상학은 수의 기초와 예방학의 과정을 통하여 습득한 지식을 바탕으로 동물의 질병에 대한 진단과 치료를 기본으로 하며 산업동물의 생산성 향상에도 노력을 경주한다. 세부과목으로 내과학, 외과학, 산과학, 진단검사의학, 방사선학, 야생동물의학, 조류질병학, 수생동물질병학 등의 과목이 있으며, 각각의 과에서는 임상 전문수의사의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교육과 연구가 이루어진다. 내과학은 내과질병에 있어 원인, 역학, 기병론, 임상증상, 실험실검사, 진단(감별진단포함), 치료, 예후에 관하여 최신의 지식을 임상실습을 통하여 배우게 된다. 내과학 분야에서는 혈액세포의 면역기능증강과 그 작용기전 연구, 유전자기법을 이용한 cytokine의 대량생산과 임상적용 및 u-바이오 칩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외과학은 외과적 처치를 필요로 하는 동물의 질환과 마취에 대한 심도있는 교육과 연구가 이루어진다. 산업동물(말, 소 등)과 같이 야외에서 수술할 경우와 반려동물(개, 고양이 등)과 같이 수술실내에서 수술할 경우에 필요한 지식과 경험을 강의와 실습을 통하여 교육하고 관절질환, 수의치과학, 장기이식을 위한 무균돼지의 생산기술 등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산과학은 정상적인 임신과 분만에 장애가 되는 질병에 대한 원인의 규명과 치료를 위한 심화된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특히 동물의 번식효율 증진을 위하여 집단번식관리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젖소의 번식효율을 높이고, 초음파를 이용한 소동물 태아에 대한 연구 등을 한다. 진단검사의학에서는 질병의 진단과 동물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실적인 검사에 관한 지식을 전달하며 혈액학과 혈액화학을 기본으로 하고 진단면역학, 진단미생물학, 진단세포학 등에 대한 교육을 한다. 연구로는 동물의 스트레스, 분자생물학적 진단기법의 개발, 생물학적 조절물질의 검색, 젖소의 대사판정시험을 하고 있다. 수의방사선학 및 진단영상학은 질병의 진단을 위해 사용하는 X-ray, 초음파 및 CT의 원리 및 응용과 관련된 내용을 심화 학습한다. 또한 이것을 바탕으로 동물의료센터에 내원하는 환자의 질병진단에 체계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을 훈련하고 익힌다. 야생동물의학에서는 야생동물이 갖는 특징적인 차이와 이것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각종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교육을 하고 동물의 종보전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조류질병학에서는 주로 닭과 오리의 가금류와 야생 및 애완조류에 대한 지식의 습득과 교육을 담당하고 있으며 또한 이와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산업동물로서의 닭과 오리에 대하여는 기본적으로 질병의 진단 서비스제공과 더불어 진단 및 치료기술의 개발 등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야생조류는 생태학적 측면에서의 질병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조류독감이 사람으로의 감염 즉, 인수공통전염병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수생동물질병학은 어류를 비롯한 각종 수생동물(연체절지동물, 파충류, 포유동물 등)에 있어서 양식 및 관상용 동물의 사육관리에 대해 교육하고, 세균성, 바이러스성, 진균성, 기생충성, 영양성, 기타 질병에 대하여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대책에 대하여 교육과 연구를 하고 있다. 이상의 소개와 같이 수의임상학은 동물의료센터를 실습장으로 활용하여 수의수련의로서의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고 더 나아가서는 각 과목별로 심도있는 교육과 연구를 통하여 수의임상 전문의로서의 자격을 갖추도록 하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 (2) 교과과정 | 구분
| 과 정
| 교과목 번 호
| 교 과 목 / 영문
| 기초 공통
| 석 사
| 8967002
| 의학통계학 / Medical Statistics
| 연구 과제
| 석 사
| 8967998
| 연구과제Ⅰ / Research ProjectsⅠ | 박 사
| 8967999
| 연구과제Ⅱ / Research ProjectsⅡ | 수 의 임상학 전 공
|
석ㆍ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967064 8967065 8967066 8967068 8967071 8967072 8967074 8967076 8967080 8967135 8967137 8967138 8967141 8967142 8967144 8967145 8967146 8967147 8967148 8967149 8967150 8967151 8967169 8967170 8967172 8967173 8967174 8967176 8967177 8967178 8967209 8967210 8967213 8967215 8967216 8967217 8967295 8967296 8967297 8967299 8967300 8967301 8967343 8967344 8967345 8967302 8967304 8967305 8967306 8967307 8967308 8967126 8967128 8967129 8967161 8967162 8967309 8967310 8967311 8967313 8967314 8967316 8967317 8967331 8967333 8967334 8967336 8967346 8967347 8967348 8967349 8967350 8967351 8967352 8967353 8967354 8967355 | 대동물임신진단 동물번식장애 동물임신 및 분만 소동물임신진단 수의내분비번식학 수의마취학 수의면역혈액병리학 수의복강외과학 수의정형외과학 대동물내과학특론 동물의 난산 처치법 동물의 인공수정 및정액학 수의내분비질병학 수의대사성질병특론 수의방사선해부학 수의소화기질병특론 수의신경외과학 수의안과학 수의외과학특론 수의임상면역학 수의치과학 실험동물외과학 수의피부병학 수의면역결핍성질병 수의호흡기계질병특론 수의비뇨기계질병특론 수의심장혈관계질병특론 수의임상혈액학 진단의알고리즘 소동물 세포진단학 수의순환기외과학 수의침구의학 동물의 첨단번식기법 임신기간중의 질병 산욕기의 질병 생식 세포의 동결 소동물위장관계 방사선학 소동물초음파진단학 소동물심혈 관계 방사선학 소동물전산화단층영상학 소동물근골격계방사선학 소동물비뇨기방사선학 고양이질병특론 수액요법특론 소동물내분비질병특론 소동물자기공명진단영상 수의구강외과학 수의관절외과학 수의외상학 수의흉부외과학 생식기질환의 진단 및 치료 어류면역학 어류생리해부학 어패류독성학 수산양식과 환경 어류조직병리학 동물의 영양과 번식 동물번식유전학 생식주기의 조절 수생동물질병진단실습 수생포유류 질병학 조류진단검사의학 파충류진단검사의학 수의재활의학 야생동물의학 특론 외래성동물 혈액학 외래성동물 세포진단학 수의비뇨기분자진단학 수의신장진단의학 고양이 피부질병학 소동물 귀질병학 수의 피부종양학 소동물 피부질병 조직병리학 소동물 과민성 피부질병학 소동물 행동질병학 소동물내시경학 소동물임상종양학
| Pregnancy Diagnosis of Large Animals Animal Reproductive Disorders Animal Pregnancy and Parturition Pregnancy Diagnosis of Small Animals Veterinary Reproductive Endocrinology Veterinary Anesthesiology Veterinary Immune Hematopathology Veterinary Surgery of Abdominal Organs Veterinary Orthopedic Surgery Advanced Large Animal Medicine Treatment of Dystocia in Animals Animal Artificial Insemination and Semenology Veterinary Endocrine Diseases Advanced Veterinary Metabolic Diseases Veterinary Radiographic Anatomy Advanced Veterinary Digestive Diseases Veterinary Neurosurgery Veterinary Ophthalmology Advanced Veterinary Surgery Veterinary Clinical Immunology Veterinary Dentistry Laboratory Animal Surgery Veterinary Dermatologic Diseases Veterinary Immunodeficiency Diseases Advanced Veterinary Respiratory Diseases Advanced Veterinary Urinary Diseases Advanced Veterinary Cardiovascular Diseases Clinical Veterinary Hematology Algorithm of the Diagnosis Small Animal Diagnostic Cytology Veterinary Surgery of Cardiovascular System Veterinary Acupuncture Advanced Reproduction Technology in Animals Diseases of the Gestation Period Diseases of the Puerperal Period Freezing of Reproductive Cell Radiology of Small Animal Gastroenteric Diseases Small Animal Diagnostic Ultrasonography Radiology of Small Animal Cardiovascular Diseases Small Animal Computerized Tomographic Imaging Radiology of Small Animal Musculoskeletal Diseases Small Animal Uroradiology Recent Advances in Feline Medicine Recent Advances in Fluid Therapy Recent Advances in Small Animal Endocrine Diseases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Small Animal Practice Veterinary Oral Surgery Veterinary Joint Surgery Veterinary Traumatology Veterinary Thoracic Surgery Diagnosis and Treatment of Genital Disease Aquatic Animal Immunology Anatomy and Physiology of Fishes Toxicology of Fishes and Molluscs Aquaculture and the Environment Histopathology of Fishes Animal Nutrition and Reproduction Animal Genealogy Control of Reproductive Cycle Diagnosis of Aquatic Animal Diseases Aquatic Mammal Medicine Avian Laboratory Medicine Reptilian Laboratory Medicine Veterinary Rehabilitation Advanced Wildlife Medicine Exotic Animal Hematology Exotic Animal Cytology Veterinary Molecular Diagnostic Urology Veterinary Nephrological Laboratory Medicine Feline Skin Diseases Small Animal Ear Diseases Skin Tumors in Animals Histopathology of Small Animal Skin Diseases Hypersensitivity Skin Disorders in Small Animals Behavior Problems in Small Animals Small Animal Endoscopy Small Animal Clinical Oncology
|
| | (3) 담당교수 : 허강준, 양만표, 최석화, 나기정, 김일화, 강현구, 장동우, 김근형, 강지훈, 강병택 | |
|
| | 바이오효능평가학 | (1) 전공안내 | 차세대 국가 성장동력인 바이오장기 및 신약개발을 위해서는 적합 동물모델의 개발, 장기 및 조직의 이식, 약리작용 및 유전형질변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기법 개발 등을 통한 전문연구인력의 인프라 구축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에 <바이오효능평가학> 대학원전공을 통하여 바이오신소재의 효능과 안전성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교육함으로써 바이오효능평가 연구의 전문가를 양성하여 바이오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본 교과과정은 수의과대학 대학원과정(수의학석사/박사)내에 두며 한국학술진흥재단 지정 중점연구소인 동물의학연구소와 상호협력하여 석/박사 전문인력을 양성하게 된다.
| (2) 교과과정 | 구 분 | 과 정 | 교과목 번 호 | 교 과 목 명 / 영 문 | 바이오 효 능 평가학 전 공
| 석ㆍ박 〃 〃 〃 〃 〃 〃 〃
〃 〃 〃 〃 〃 〃
〃 〃
〃 〃 〃 〃 〃 〃 〃 〃
| 8967020 8967077 8967084 8967156 8967188 8967197 8967220 8967221
8967222 8967226 8967231 8967232 8967235 8967256
8967257 8967258
8967265 8967270 8967289 8967320 8967321 8967322 8967323 8967332
| 질환모델동물학 수의비뇨생식기외과학 세포병리학특론 내분비계 장애물질안전성 평가법 발암성 시험연구 독성유전체학 독성반응의 생체지표 안전성ㆍ유효성 평가 실험설계
신경독성학 노화 및 퇴행성질환 영양과 질병 기능성 식품 노화와 항산화제 세포항산화기전의 최신지견
유전자조작기법특론 유전자기능저해 실험기법
수의종양병리학 독성병리학특론 유리기와 질병 암동물모델제작기법론 약물효능평가법특론 뇌질환 동물모델제작 기법론 뇌신경계질환특론 생식기능 연구
| Animal Model for Human Diseases Veterinary Surgery of Urogenital Organs Advanced Cytopathology Safety Test Techniques of Endocrine Disruptors Carcinogenicity for Safety of Drug & Chemicals Toxicogenomics Biomarkers of Toxic Response Assay Development for Safety and Efficacy Evaluation Neurotoxicology Aging and Degenerative Diseases Nutrition in Diseases Functional Foods Antioxidants in Aging Current Topics in Cellullar Antioxidative Mechanism Advanced Gene Manipulation Techniques Experimental Techniques on Gene Function Inactivation Veterinary Tumor Pathology Advanced Toxicologic Pathology Free Radicals in Diseases Animal Model in Cancer Advances in Drug Evaluation Animal Model in Brain Diseases Advances in Cerebroneuronal Diseases Research on Reproductive Function
|
| | (3) 담당교수 : 윤영원, 강종구, 최석화, 남상윤, 김대중, 김윤배, 이범준, 안병우 |
|
|